석판 인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판 인쇄는 1798년 알로이스 젠네펠더가 발명한 평판 인쇄 기술로, 기름과 물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인쇄한다. 석회석 판 위에 기름 성분의 크레용으로 그림을 그리고 약산성 용액으로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인쇄판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19세기 초 다색 인쇄가 시도되었으며, 이후 상업 지도 제작에 활용되면서 널리 보급되었다. 현대에는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사진 기술과 결합된 옵셋 인쇄 방식으로 발전하여 포스터, 책, 신문 등 다양한 인쇄물 제작에 사용된다. 석판 인쇄는 들라크루아, 고야, 도미에, 툴루즈-로트렉, 피카소 등 많은 예술가들에게 예술 표현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발명품 - 슈뢰딩거 방정식
슈뢰딩거 방정식은 양자역학에서 시스템의 시간적 변화를 기술하는 기본 방정식으로, 파동 함수에 대한 편미분 방정식이며, 시스템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해밀토니안 연산자를 포함하고, 양자 상태를 기술하며, 다양한 양자역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오스트리아의 발명품 - 페로세륨
페로세륨은 1903년 카를 아우어 폰 벨스바흐가 발명한 불꽃 생성용 합금으로, 세륨, 란타넘 등을 포함하며 부싯돌 라이터 등에 사용되고 가연성 고체로 분류된다. - 리소그래피 - 포토리소그래피
포토리소그래피는 빛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핵심 기술이며, 석판화에서 유래되어 극자외선 기술까지 발전했다. - 리소그래피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석판 인쇄 | |
---|---|
기본 정보 | |
![]() | |
발명자 | 알로이스 제네펠더 |
발명 연도 | 1796년 |
개발국 | 독일 |
유형 | 평판 인쇄 |
사용되는 재료 | 석회암, 인쇄용 잉크, 물 |
응용 분야 | 미술 작품 인쇄 대량 인쇄 지도 제작 포스터 제작 상업 인쇄 |
역사 | |
발명 초기 | 석판 인쇄술은 1796년 알로이스 제네펠더에 의해 발명되었고, 초기에는 악보 인쇄에 사용되었음. |
19세기 발전 | 19세기에 예술가들이 석판 인쇄술을 채택하면서 미술 인쇄에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다색 석판 인쇄(크로모리소그래피)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색상의 인쇄물을 만들 수 있게 됨. |
현대적 응용 | 현대에는 석판 인쇄술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오프셋 인쇄가 상업 인쇄에서 널리 사용됨. |
작동 원리 | |
기본 원리 |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는 인쇄 방식임. |
과정 | 석판 위에 기름 성분의 잉크로 그림을 그리고, 물을 묻힌 후 잉크를 묻히면, 그림을 그린 부분에만 잉크가 묻어나는 원리를 이용함. |
인쇄 과정 | 석판에 그려진 그림을 종이로 옮기는 과정을 거침. |
기법 | |
펜과 잉크 | 특수 잉크나 펜으로 석판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방법. |
크레용 | 크레용으로 석판에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 부드러운 표현이 가능함. |
전사 | 다른 매체에 그린 그림을 석판으로 옮겨 인쇄하는 방법. |
사진 석판 | 사진 이미지를 석판에 전사하여 인쇄하는 방법. |
특징 | |
장점 | 복잡한 그림이나 필체를 섬세하게 표현 가능 대량 인쇄에 적합 다양한 색상 표현 가능 |
단점 | 석판 제작 과정이 복잡함 습도와 온도에 민감함 수정이 어려움 |
기타 | |
관련 용어 | 리소그래퍼 (Lithographer) : 석판 인쇄공 리소그래피 (Lithography) : 석판 인쇄술 크로모리소그래피 (Chromolithography) : 다색 석판 인쇄 |
디지털 인쇄와의 차이 | 디지털 인쇄와 달리, 석판 인쇄는 중간 매체를 거쳐 인쇄하는 아날로그 방식임. |
현대적 변형 | 오프셋 인쇄는 석판 인쇄의 원리를 이용한 현대적인 인쇄 기술임. |
2. 역사
주어진 원문과 하위 섹션 내용에 따르면, '역사' 섹션에는 석판 인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들어가야 하지만,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한국의 석판 인쇄 역사에 대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2. 1. 서양의 석판 인쇄 역사
알로이스 젠네펠더는 1798년에 석회석 위에 지방 크레용으로 그림을 그리고, 아라비아 고무와 질산을 섞은 약산성 용액을 칠해 화학 변화를 일으켜 판을 만드는 평판 인쇄를 발명했다.[1] 1818년, 젠네펠더는 『석판술 전서』를 간행하여 리토그래피 기법이 유럽에 퍼지게 되었다.[1]2. 2. 한국의 석판 인쇄 역사
주어진 원문은 일본의 석판 인쇄 역사에 대한 내용이므로, '한국의 석판 인쇄 역사' 섹션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3. 석판 인쇄의 원리
석판 인쇄는 기름과 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평평한 판에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쇄 방식이다. 이미지에서 잉크가 묻어야 하는 부분(양수 부분)은 물을 밀어내는 성질(소수성)을 가진 물질로 처리하고, 잉크가 묻지 않아야 하는 부분(음수 부분)은 물을 흡수하는 성질(친수성)을 가진 물질로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판에 잉크와 물 혼합물을 묻히면 잉크는 양수 부분에만 달라붙고, 물은 음수 부분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알로이스 제네펠더[1]가 1796년 바이에른 왕국에서 발명한 초기 석판 인쇄는 매끄러운 석회석 조각을 사용했다. ("lithos"(λιθοςgrc)는 고대 그리스어로 "돌"을 의미한다.) 석회석 표면에 유성 이미지를 그린 후,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도포하여 고무가 유성이 아닌 표면에만 달라붙게 했다. 인쇄 과정에서 물은 아라비아 고무 표면에 달라붙고 유성 부분은 밀어내며, 유성 잉크는 그 반대로 작용했다.
현대 석판 인쇄는 왁스 크레파스와 같이 기름 성분(소수성)을 가진 재료로 이미지를 그리고,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에 질산(HNO3)을 약산성으로 처리하여 석판에 바른다. 이 용액은 그림이 없는 부분에 친수성 질산칼슘 염(Ca(NO3)2)과 아라비아 고무 층을 형성한다.[1] 이후 테레빈유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된 유성 재료를 제거하지만, 소수성 분자 필름은 석판 표면에 단단히 결합된 채로 남아 아라비아 고무와 물을 밀어내고 유성 잉크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10][11]
인쇄 시에는 석판을 물로 적신 후 건성유(예: 아마인유, 바니시)와 안료를 섞은 인쇄 잉크를 굴린다. 물은 유성 잉크를 밀어내지만, 그림 재료가 남긴 소수성 부분은 잉크를 흡수한다. 소수성 이미지에 잉크가 채워지면 석판과 종이를 프레스에 통과시켜 고른 압력을 가하여 잉크를 종이에 옮기고 석판에서 떼어낸다.
3. 1. 기본 원리
석판 인쇄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간단한 화학 과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잉크가 묻어야 하는 부분(양수 부분)은 물을 밀어내는 성질(소수성)을 가진 물질로 처리하고, 잉크가 묻지 않아야 하는 부분(음수 부분)은 물을 흡수하는 성질(친수성)을 가진 물질로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판에 잉크와 물 혼합물을 넣으면, 잉크는 양수 부분에만 달라붙고 물은 음수 부분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평평한 인쇄판으로도 정교한 인쇄가 가능하며, 이전의 凹판 인쇄나 활판 인쇄보다 훨씬 길고 세밀한 인쇄 작업을 할 수 있다.석판 인쇄는 기름과 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밀어내는 성질(반발력)을 이용한다. 먼저 왁스 크레파스와 같이 기름 성분(소수성)을 가진 재료로 인쇄판 표면에 그림을 그린다. 이때 그림이 잘 보이도록 색소를 첨가할 수 있다. 다양한 기름 성분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석판 위 이미지의 내구성은 재료의 지질 함량과 물, 산에 대한 저항력에 따라 달라진다.
그림을 그린 후에는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에 질산(HNO3)을 섞어 약산성으로 만든 용액을 석판에 바른다. 이 용액은 그림이 없는 부분에 친수성 질산칼슘 염(Ca(NO3)2)과 아라비아 고무 층을 형성한다.[1] 고무 용액은 석판의 미세한 구멍에 스며들어 원래 그림을 친수성 층으로 완전히 둘러싸, 잉크가 스며들지 않게 한다. 그런 다음 테레빈유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된 유성 재료를 제거하지만, 소수성 분자 필름은 석판 표면에 단단히 결합된 채로 남아 아라비아 고무와 물을 밀어내고 유성 잉크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10][11]
인쇄 시에는 석판을 물로 적셔둔다. 물은 산 처리로 생성된 고무와 염 층에 자연스럽게 끌린다. 그 후 건성유(예: 아마인유, 바니시)와 안료를 섞은 인쇄 잉크를 표면에 굴린다. 물은 유성 잉크를 밀어내지만, 그림 재료가 남긴 소수성 부분은 잉크를 흡수한다. 소수성 이미지에 잉크가 채워지면 석판과 종이를 프레스에 통과시켜 고른 압력을 가하여 잉크를 종이에 옮기고 석판에서 떼어낸다.
알로이스 제네펠더[1]는 1796년 바이에른 왕국에서 석판 인쇄술을 발명했다. 초기 석판 인쇄에서는 매끄러운 석회석 조각을 사용했기 때문에 '석판 인쇄(lithography)'라는 이름이 붙었다. ('lithos'(λιθοςgrc)는 고대 그리스어로 '돌'을 의미한다.)
3. 2. 석판 인쇄 과정 (알루미늄 판 기준)
석판 인쇄는 기름과 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다. 먼저, 유성 크레파스나 잉크 같은 기름 성분의 재료로 알루미늄 판 위에 그림을 그린다. 그 후, 아라비아 고무 용액에 질산을 섞은 액체를 판 전체에 바른다. 이 용액은 그림이 없는 부분에 스며들어 물과 친한 층을 형성한다.Lithographie프랑스어 인쇄 시에는 판을 물로 적신다. 그러면 그림이 없는 부분은 물에 젖고, 그림이 있는 부분은 기름 성분 때문에 물을 밀어낸다. 이후 유성 잉크를 롤러로 굴리면, 잉크는 물이 묻지 않은 그림 부분에만 달라붙는다. 잉크가 묻은 판 위에 종이를 놓고 압력을 가하면 잉크가 종이에 옮겨져 그림이 나타난다.
사진 공정을 이용하는 옵셋 석판 인쇄는 알루미늄, 폴리에스터, 마일러, 종이 등의 유연한 판을 사용한다. 이 판은 거친 질감을 가지며 감광성 에멀션으로 코팅되어 있다. 원하는 이미지의 네거티브 사진을 에멀션에 밀착시켜 자외선에 노출시킨다. 현상 후에는 네거티브 이미지의 반전, 즉 원본 이미지의 복제본이 나타난다. CTP 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로 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판은 인쇄기의 실린더에 부착된다. 가습 롤러가 물을 공급하면 판의 공백 부분은 물에 젖지만, 이미지 영역은 에멀션에 의해 물이 밀려난다. 잉크 롤러는 소수성 잉크를 이미지 영역에만 부착시킨다.
이 이미지를 종이에 바로 전사하면 거울상 이미지가 생기고 종이가 젖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판은 고무 블랭킷으로 덮인 실린더에 맞닿아 물을 짜내고 잉크를 종이에 균일한 압력으로 전사한다. 종이는 블랭킷 실린더와 압력 실린더 사이를 통과하며 이미지가 전사된다. 이처럼 이미지가 고무 블랭킷 실린더에 먼저 '옵셋'되기 때문에 이 방식을 '옵셋 석판 인쇄' 또는 '옵셋 인쇄'라고 한다.[13]
판면을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다.
유분이 강한 인쇄 재료(리토크레용, 더마토그래프, 풀먹, 팅크타르, 잉크, 유성 매직 등)를 사용하여 판면에 그림을 그린다. 이때, 손 등에 묻은 유분에도 반응하므로, 그림을 그리지 않는 부분은 미리 아라비아 고무로 막아둔다. 맞춤표시는 긴 변에 하는 것이 좋다.
인쇄 재료를 바꿀 때마다 탈크(아라비아 고무의 수분으로부터 그림 부분을 보호), 라줌(아라비아 고무의 산으로부터 그림 부분을 보호)을 그림 부분에 도포하고, 그 후 아라비아 고무를 판 전체에 스펀지로 수직으로 도포한다. 이때, 그림 부분에 닦은 자국이 남으면 아라비아 고무의 산에 의해 그려진 부분이 침식될 수 있으므로, 닦은 자국이 남지 않도록 깨끗이 닦아낸다.
; 방치 시간에 대하여
: 그림을 그린 시점, 아라비아 고무를 바른 시점부터 반응이 시작되며, 마르자마자 제판 작업에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인쇄 수를 많이 하려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을 두고 인쇄 재료와 아라비아 고무가 판에 스며들도록 해야 한다. 인쇄 수를 많이 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패를 피하기 위해 1시간 정도 방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방치 시간이 길수록 안정적이므로, 1일에서 1주일 정도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

아라비아검 층을 통해 등유나 테레핀유(마커나 볼펜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다면 신나)를 사용하여 그림 재료를 제거한다. (그린 부분의 판이 드러난다.) 이때, 아라비아검을 녹여 버리면 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물기는 절대 금물이다.
그림 재료가 제거되면 에겐라커(Hanns Eggen GmbH의 라커), 팅크타르(신일본조형(주) 제품, 아스팔트, 지방, 밀랍, 테레핀유 등의 혼합액; Liquid Asphalt[18])를 그린 부분에 얇게 바른다. 그린 부분에는 에겐라커와 팅크타르 층이 생기고, 그리지 않은 부분은 아라비아검으로 보호된다.
물을 뿌려 아라비아검을 제거한다. 아라비아검 위의 에겐라커와 팅크타르도 함께 제거된다.
판면을 건조시키지 않도록 스펀지 등으로 판면을 항상 적셔준 상태에서 제판 잉크를 제판용 가죽 롤러로 칠한다. 처음에는 빠르게 롤러를 굴려 떨어지지 않은 팅크타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천천히 굴려 제판 잉크를 칠한다.
판을 말리고 활석, 라줌, 아라비아검을 바르고 2분 정도 방치한 후 다시 한번 아라비아검을 바르고 거즈 등으로 닦아낸 후 1시간 정도 방치한다(닦은 자국 주의). 이 경우의 방치 시간도 그림을 그릴 때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길수록 안정적인 판이 만들어진다.
종이는 작품 크기에 맞춰 재단해 둔다. 프레스 기계의 압력을 조절해 둔다. 인쇄 잉크를 준비한다. 경우에 따라 탄산마그네슘과 같은 체질 안료나 아마인유 등으로 잉크의 농도를 조절하여 잉크 반죽판 위에서 인쇄용 고무롤러에 펴 바른다.
제판 잉크를 테레핀유나 등유로 닦아내고, 물을 뿌려 아라비아 고무도 닦아낸다.
웨스에 소량의 테레핀유를 적셔 준비한 잉크를 묻힌다. 판이 마르지 않도록 스펀지로 적셔가며, 그림을 그린 부분에 문질러 넣는다.
고무롤러로 인쇄 잉크를 덧바른다. 판이 마르면 뭉개지므로 주의하면서 처음에는 빠르게, 나중에는 천천히 굴린다.
종이를 위치에 맞춰 놓고, 대지, 틴판을 깔고, 틴판에 그리스를 발라 둔다.
압력을 가해 인쇄한다.
인쇄가 끝나면 드라이랙에서 말리거나, 종이를 물에 적셨다면 물풀을 해 둔다.
- 만족스러운 인쇄 결과물에 에디션 번호를 찍는다.
4. 현대 석판 인쇄 기술: 옵셋 인쇄
옵셋 인쇄는 포스터, 지도, 책, 신문, 포장재 등 다양한 인쇄물 대량 생산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특히 텍스트가 포함된 대부분의 책은 옵셋 석판 인쇄를 통해 만들어진다.
옵셋 석판 인쇄는 돌판 대신 유연한 알루미늄, 폴리에스터(polyester), 마일러 또는 종이 인쇄판을 사용한다. 현대 인쇄판은 브러싱 처리되거나 거친 질감을 가지며 감광성 에멀션(emulsion)으로 코팅되어 있다. 원하는 이미지의 사진 네거티브를 에멀션에 접촉시키고 자외선에 노출시킨 후 현상하면, 에멀션에 네거티브 이미지의 반전이 나타나 원본(양성) 이미지의 복제본이 된다. CTP 장치인 플레이트세터에서 레이저 이미징을 통해 판 에멀션에 직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미징 후 남아 있는 에멀션이 양성 이미지이며, 에멀션의 비이미지 부분은 전통적으로 화학적 공정을 통해 제거되었지만, 최근에는 그러한 처리가 필요 없는 판이 출시되었다.
인쇄판은 인쇄기 실린더에 부착된다. 가습 롤러는 물을 적용하는데, 이는 판의 공백 부분을 덮지만 이미지 영역의 에멀션은 밀어낸다. 잉크 롤러는 소수성 잉크를 적용하는데, 이 잉크는 물에 밀려 이미지 영역의 에멀션에만 부착된다.
이 이미지를 종이에 직접 전사하면 거울상 이미지가 생성되고 종이가 너무 젖게 된다. 대신, 판은 고무 블랭킷으로 덮인 실린더에 맞닿아 물을 짜내고 잉크를 집어 올려 균일한 압력으로 종이에 전사한다. 종이는 블랭킷 실린더와 대압(인상) 실린더 사이를 통과하며 이미지가 종이에 전사된다. 이처럼 이미지가 먼저 고무 블랭킷 실린더에 '옵셋'되기 때문에 이 복제 방법을 '옵셋 석판 인쇄' 또는 옵셋 인쇄라고 한다.[13]
수년에 걸쳐 인쇄 공정과 프레스에 많은 혁신과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여러 유닛(각각 하나의 인쇄판 포함)이 있는 프레스가 개발되어 한 번에 시트 양면에 다색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게 되었고, 웹 프레스(종이의 연속 롤(웹)을 수용하는 프레스)도 개발되었다. Dahlgren이 처음 도입한 연속 가습 시스템은 물을 흡수하는 몰레톤(천)으로 덮인 롤러를 사용하여 판에 대한 물 흐름 제어를 향상시키고 더 나은 잉크와 물의 균형을 허용했다. 최근 가습 시스템에는 "델타 효과 또는 바리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판과 접촉하는 롤러의 속도를 늦추어 "히키"라고 알려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잉크 이미지를 따라 청소하는 동작을 만든다.
이 프레스는 잉크가 여러 층의 서로 다른 용도의 롤러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잉크 피라미드라고도 한다. 빠른 석판 인쇄 웹 프레스는 일반적으로 신문 제작에 사용된다.
데스크톱 출판(desktop publishing)의 출현으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타이프와 이미지를 쉽게 수정하여 데스크톱 또는 상업용 프레스로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이미지 세터(imagesetter) 개발을 통해 인쇄소는 실제 페이지 레이아웃을 사진 촬영하는 중간 단계를 건너뛰고 디지털 입력으로부터 직접 플레이트 제작을 위한 네거티브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디지털 플레이트세터(platesetter)가 개발됨에 따라 컴퓨터투플레이트 인쇄를 통해 필름 네거티브 없이 디지털 입력으로부터 직접 인쇄판을 노출할 수 있게 되었다.
4. 1. 옵셋 인쇄의 장점
옵셋 석판 인쇄는 대량 인쇄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포스터, 지도, 책, 신문, 포장재 등 다양한 인쇄물 제작에 활용된다. 특히 텍스트가 포함된 대부분의 책은 옵셋 석판 인쇄를 통해 만들어진다.[13]옵셋 인쇄는 유연한 알루미늄, 폴리에스터(polyester), 마일러, 또는 종이 인쇄판을 사용하며, 이 판은 감광성 에멀션(emulsion)으로 코팅되어 있다. 원하는 이미지의 사진 네거티브를 에멀션에 접촉시켜 자외선에 노출시키면, 네거티브 이미지의 반전된 형태가 에멀션에 나타나 원본 이미지의 복제본이 생성된다. CTP(컴퓨터투플레이트) 장치를 사용하면 레이저 이미징을 통해 판 에멀션에 직접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인쇄판은 인쇄기의 실린더에 부착되고, 가습 롤러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이 물은 판의 공백 부분을 덮지만, 이미지 영역의 에멀션은 물을 밀어낸다. 잉크 롤러는 소수성 잉크를 공급하는데, 이 잉크는 물에 밀려 이미지 영역에만 부착된다.
이 이미지를 종이에 직접 전사하면 거울상 이미지가 생성되고 종이가 젖게 되므로, 고무 블랭킷으로 덮인 실린더를 사용하여 물을 짜내고 잉크를 종이에 균일하게 전사한다. 종이는 블랭킷 실린더와 대압 실린더 사이를 통과하며 이미지가 전사된다. 이처럼 이미지가 고무 블랭킷 실린더에 먼저 '옵셋'되기 때문에 이 복제 방법을 옵셋 석판 인쇄 또는 옵셋 인쇄라고 부른다.[13]
인쇄 공정과 프레스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여러 유닛을 가진 프레스가 개발되어 한 번에 양면에 다색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게 되었고, 연속 용지(웹)를 사용하는 웹 프레스도 개발되었다. 또한, Dahlgren이 처음 도입한 연속 가습 시스템은 물 흡수 몰레톤(천)으로 덮인 롤러를 사용하여 판에 대한 물 흐름을 개선하고 잉크와 물의 균형을 더 잘 맞추도록 했다. 최근 가습 시스템에는 "델타 효과 또는 바리오"가 포함되어 잉크 이미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잉크 피라미드라고 불리는 이 프레스는 잉크가 여러 층의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문 제작에는 주로 빠른 석판 인쇄 웹 프레스가 사용된다.
데스크톱 출판(desktop publishing)의 등장으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타이프와 이미지를 쉽게 수정하여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이미지 세터(imagesetter)의 개발로 인쇄소는 디지털 입력으로부터 직접 플레이트 제작용 네거티브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디지털 플레이트세터(platesetter)의 개발로 필름 네거티브 없이 디지털 입력으로부터 직접 인쇄판을 노출하는 컴퓨터투플레이트 인쇄가 가능해졌다.
5. 석판 인쇄를 활용한 예술가
고드프루아 엥겔만(Godefroy Engelmann)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19세기 초 들라크루아, 제리코(Géricault)와 같은 예술가들이 석판화를 채택했다.[14] 1828년 고야는 "보르도의 황소(The Bulls of Bordeaux)"라는 마지막 석판화 연작을 제작했다.[14] 도미에의 판화를 포함한 상업적 용도로 석판화의 사용이 점점 더 선호되었다.[14]
1890년대에는 쥘 셰레(Jules Chéret)의 등장으로 컬러 석판화가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작품은 툴루즈-로트렉(Toulouse-Lautrec)을 비롯한 새로운 세대의 포스터 디자이너와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14] 20세기에는 무를로 스튜디오(Mourlot Studios) 덕분에 브라크, 칼더, 샤갈(Chagall), 레제, 마티스(Matisse), 미로, 피카소(Picasso)를 포함한 여러 예술가들이 석판화를 재발견했다.[15][16]
그랜트 우드(Grant Wood), 조지 벨로우스(George Bellows),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 맥스 칸(Max Kahn),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엘리너 코엔(Eleanor Coen), 재스퍼 존스(Jasper Johns),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수잔 도로테아 화이트(Susan Dorothea White),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도 석판화 기법으로 판화를 제작했다. M. C. 에셔(M. C. Escher)는 석판화의 거장으로 여겨진다.[14]
석판화를 활용한 주요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 오노레 도미에(Honoré Daumier)
-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 앙리 드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
-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
- 피에르 보나르(Pierre Bonnard)
-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
-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Maurits Cornelis Escher)
-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 노먼 록웰(Norman Rockwell)
- 이시이 테이코(石井鼎湖)
- 다카하시 유이치(高橋由一)
- 야마모토 호스이(山本芳翠)
- 오카다 사부로스케(岡田三郎助)
- 시노다 토모에(篠田桃紅)
- 히가시야마 가이이(東山魁夷)
- 마키노 토미타로(牧野富太郎) - 우리나라 최초의 식물 도감 제작에 석판화를 많이 사용했다.[19]
참조
[1]
백과사전
Lithography
[2]
서적
The Technique of Lithography
B.T. Batsford
[3]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 Wiley & Sons, Inc
[4]
서적
Typographic Design: Form and Communication,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5]
서적
Lithography and Lithographers
https://archive.org/[...]
T. Fisher Unwin Publisher
[6]
웹사이트
Lithography
https://www.britanni[...]
2021-11-23
[7]
웹사이트
Digital & Photographic
http://www.stbarnaba[...]
St Barnabas Press
[8]
서적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photography: A-I, index, Volume 1
Taylor & Francis
[9]
서적
Classical Optics and Its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Discussion of the Requisite Qualities of Lithographic Limestone, with Report on Tests of the Lithographic Stone of Mitchell County, Iowa
https://books.google[...]
Iowa Geological Survey
[11]
서적
How to Identify Prints: a complete guide to manual and mechanical processes from woodcut to ink jet
Thames and Hudson
[12]
서적
British Maps and Map Makers
W. Collins
[13]
웹사이트
Offset
http://www.compassro[...]
[14]
서적
Specimens of Polyautography, Consisting of Impressions taken from Original Drawings, Made on Stone purposely for this Work
http://primo.getty.e[...]
Philipp André
[15]
웹사이트
History of 20th century lithography by Picasso, Matisse, Chagall, Braque, Leger at Atelier Mourlot
http://www.fiaf.org/[...]
[16]
서적
Twentieth Century Posters
Wellfleet Press
[17]
웹사이트
What is a Serilith?
http://countrysidear[...]
2007-11-02
[18]
웹사이트
http://www.gazaiyasa[...]
[19]
뉴스
NHK朝の連続テレビ小説に石版印刷会社 植物学者・牧野富太郎がモデルの「らんまん」
http://nichiin.co.jp[...]
日本印刷新聞社
[20]
서적
The Technique of Lithography
B.T. Bats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